성도착증을 가진 성범죄자의 생물-심리사회학적 치료기법 연구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2025-07-24
-
21 회
-
0 건
본문
I. 서 론
성도착증이란 어떤 개인이 일반적으로 드물거나 용인될 수 없는 성적 욕구나 환상을 반복적이고 강렬하게 가지는 정신적, 성적 이상(psychosexual disorder)이다. 성도착증을 정신의학적인 질병으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DSM- IV-TR(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ed.) 진단기준에 따라 성적 행위, 욕구, 공상 등이 사회적 관계, 직업, 생활 기능 등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실제적 장애를 유발하여야 한다. 성도착적 행태는 일과성일 수 있으나, 성도착증의 성적 내용은 일반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대개 6개월 이상 지속된다. DSM-IV-TR 진단기준에 따라 흔한 성도착증을 나열하자면, 노출증(exhibitionism), 여성물건애(fetishism), 접촉도착증(frotteurism), 소아성애증(pedophilia), 성적 피학증(sexual masochism), 성적 가학증(sexual sadism), 의상도착증 (transvestic fetishism), 관음증(voyeurism) 등이 포함된다.
40가지 이상의 다양한 성도착증이 보고되어 왔으며(Money, 1986, 1999), 성도착증을 가진 환자는 두 가지 이상의 성도착 행태를 보일 수 있다 (Lehne and Money, 2000, 2003). 인간의 성은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치료자는 어떠한 특이한 성적 공상이나 기호를 보이는 사람 모두가 그로 인해 정신과적으로 실제로 발병하는 성도착 환자가 아님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성도착증이 진단된다고 하여 알코올 중독, 약물 남용 등 다른 질병의 동반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러한 질병이 성도착증 환자에서 더 흔히 관찰된다.(Allnutt et al., 1996; McElroy et al., 1999; Raymond et al., 1999) 특정한 인격장애가 성도착증과 특별히 관련되어 있지는 않으나, 모든 종류의 인격장애가 성도착증 환자에서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성도착증은 기질성, 퇴행성, 외상성 뇌 손상과 관련될 수 있다.(Simpson et al., 1999; Mendez et al., 2000)
동반되어 있는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성도착증의 치료에 중요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정신분열병, 정신지체, 자폐증, 전반적 발달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후군 등의 환자에서 일반적인 인구 집단보다 성도착증의 발병률이 높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성도착증의 발병 위험 집단이 된다. 이러한 환자들은 대인관계가 제한되어 있고 대인 관계의 기술이 부족하므로 실제로 적절한 성적 대상을 찾는 것이 어려움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나머지 내용은 아래 첨부파일에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메일 : drchoi49@naver.com 전화번호 : 010-7942-9995